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살면서 생각하며

by 1004들꽃 2008. 5. 28.

살면서 생각하며


살아가는 일이란 것이 무엇일까 하는 의심을 가끔씩 가져봅니다. 아침에 일어나 직장으로 향하고 일을 마친 후 퇴근을 하여 모임을 갖든지 아니면 집으로 돌아가는 반복되는 일상의 연속이 보통 사람들의 겉모습인지. 그리고 겉모습이 전부인지 아니면 각자의 내면에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광범위한 많은 생각이나 계획, 또는 끊임없는 사색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인지.
언젠가 시를 쓴다는 것에 대하여 감히 끊임없는 사유에의 접근이 아닌가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생각과 생각을 거듭하여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리하여 가장 행복한 길로 접어들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으로서의 시에 대한 생각이었겠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행복이라는 것이 어떤 식으로 정의 되어야할지 알지를 못합니다. 일전에 가족과 함께하는 행복이라는 제목으로 아침 편지에 담겨 온 행복에 대한 내용이 떠오릅니다.
두 아이를 키우면서 혼자 지내본 적이 거의 없었던 한 주부가 이박 삼일 일정으로 남편과 아이 모두 시골에 벌초를 하러 떠나보낸 후 처음에는 그렇게 자유롭고 행복할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무력감과 외로움이 몰려들고 결국 아이로부터 울먹이는 전화를 받는 순간 머릿속에 확 와 닿는 그 무엇. 자유라는 것은 아무렇게나 붙일 수 있는 단어가 아니라 삶 속에서 책임과 맡은 바 역할에 충실했을 때 그 속에 숨어있는 것이라는 걸 알았다는 것. 그리고 진정한 자유란 몸이 아니고 마음, 곧 정신의 자유로움이 참 의미라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결국 가족과 함께하는 일상이 가장 행복한 순간들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직장과 가정간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는 실정이다 보니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생각만큼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그동안 아이들은 통제 없이 각자의 시간을 보내고 있고, 그만큼 행복한 시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닌지요?
요즈음 농촌지역에서 큰 문제로 떠오르는 것이 인구에 대한 것입니다. 도시지역도 마찬가지겠지만 농촌지역에서는 그 문제가 심각할 정도입니다. 인구수에 따라서 정부에서 받는 교부세가 차이가 나니 농촌지역의 자치단체에서는 재정의 압박을 받다보니 인구수 늘이기에 혈안이 되어 있을 정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가공의 시설물 앞에서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것도 중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그 속에서 사회성을 배우고 남을 배려할 수 있는 태도도 배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과연 한 인간이 살아감에 있어 눈에 보이는 발전이라든가 얼마 전에 유명세를 탔던 청개천 복원과 같은 일들을 두고 행복에 가까워졌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그 옛날 지금 같은 주방시설이 되어 있지도, 상상할 수도 없었던 시절에도 행복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복잡하고 다양한 볼거리를 공유할 수 있을지라도 자신과 맞지 않는 일도 있을 것입니다.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고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더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겁니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보편적인 중간 지점을 택하는 것을 어찌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되지만, 그 와중에 각각의 개인은 마냥 중간으로만 갈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요? 항상 이런 질문이 와 닿으면 머릿속이 텅 비어버리곤 합니다. 보통의 사람들이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보다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습니다. 가족들은 그저 아침 밥상에서 잠시 보는 둥 마는 둥, 이후 하루 종일 가족에 대해서는 생각도 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러면서도 모든 일들을 가족을 위해서 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겨울밤이 깊어가는 시간, 집 밖으로 나가 하늘을 쳐다봅니다. 오리온 별자리가 선명하게 다가옵니다. 매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렇게 많은 날들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구름이 낀 날도 있고 추운 날씨 핑계로 밖에 나가지 않는 날이 더 많습니다. 오리온 별자리에 대한 기억 때문에 매일 밤하늘에 있는 별자리를 보고 있다는 착각을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잘못된 길을 갈 것 같은 생각 때문에 너무 많은 잔소리를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입니다. 깊어가는 겨울 밤, 가족들과 함께 차 한 잔 나누는 것은 어떨까요.

 

의초 100주년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에 대하여  (0) 2008.05.28
약속에 대하여  (0) 2008.05.28
흡연자들을 위한 대변  (0) 2008.05.28
마음을 비추는 거울  (0) 2008.05.28
부모의 역할에 대하여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