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년 흔적

법계사 탐방(2015-12-20)

by 1004들꽃 2015. 12. 20.

법계사를 가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천왕봉을 다녀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나서지 못했다. 생각만으로 세월을 보낸지 여러해. 

천왕봉은 일단 뒤로 미루고 법계사를 둘러 내려오자는 말에 귀가 솔깃해지고

잔뜩 찌푸린 날씨를 등에 업고 길을 나섰다

희한하게도 카메라의 날짜를 손댄 적이 없는데

2015년 12월 20일이 카메라가 찍은 사진에는 2012년 12월 19일로 찍혀 나온다

날짜가 찍히도록 설정하지도 않았고 날짜에 손을 대지 않았는데도 왜 날짜는 까마득한 과거를 가리키고 있는 것일까

날짜를 수정하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지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는지 대번에 까먹고 말았다

인생이란 이런 것인가 보다.

법계사 방문은 순두류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했다

중산리에서 출발하는 밋밋한 길보다는 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으며 물을 보면서 걷는 길이 훨씬 기분좋은 길이기 때문이다

내려오는 길은 일행들과 의논을 하겠지만 내심 중산리 칼바위 방향으로 내려가면 어떨까 생각해 보았다 

없었던 통문이 서 있다

세석길을 접어들 때 세워 놓았던 것과 같은 통문이 이곳에도 세워져 있다

전국의 국립공원에는 각각의 길마다 이렇게 시책적으로 통문을 세웠나보다.

해인사 소리길에도 세워져 있으니 ~~

길의 시작에 이런 구조물은 사람을 기분좋게 한다

지나는 모든 사람들을 어린시절로 돌아가 만들고 신나는 길을 걷게 만든다

잠시 걷다보면 바로 눈을 만나게 된다

겨울의 지리산은 눈산이다

눈을 보고 싶으면 지리산을 찾으면 된다

아직도 겨울 눈덮인 천왕봉을 가보지 못했다

언젠가 한 번 꼭 찾아야겠다는 생각만 있을 뿐

생각은 행동을 비켜나가 눈이 다 녹은 후에나 찾아가게 된다

 

우연하게도

금요일 대호를 보고 토요일 마누라와 아들과 함께 다시 대호를 보았는데

대호의 지리적 배경이 지리산이었다. 그 배경인 지리산을 일요일 찾게 되었다

대호의 자취를 찾기 위해서???? 

온통 눈으로 뒤덮인 지리산은

찌푸린 하늘과는 달리 푸근했다

방한모를 쓰지 않고도 추운줄도 몰랐고 가끔 장갑도 벗었다

손이 시리다는 생각도 들지 않았고

오로지 산의 기운과 나의 기운이 함께 어울려지는 것을 느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높은 산이든 낮은 산이든 그 산의 기운은 오롯이 산길을 걷는 사람만이 느낄 수 있다

지리산이든 의령의 자굴산이든

산은 그 산만이 가지고 있는 기운이 있어서

산을 찾는 사람만이 그 기운을 느낄 수 있다

흐르는 물이 어는 시간은 어떻게 계산되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흐르는 물이 흘러내리며 흘러내리는 그 모양대로 얼어서 고드름이 만들어진다

폭포는 그 모습 그대로 얼어서 굳어져 멈추어 있고

봄이 되면 다시 녹아서 물은 제 갈길을 가게 된다

얼마나 추우면 그렇게 되는 것일까

가끔 집에서도 물이 흐르는 모양대로 얼어있는 모습을 보기도 했지만

폭포가 얼어가는 모습을 상상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어쩌면 우리가 떠올릴 수 있는 낱말을 생각해 볼 때 "신비"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눈길을 따라 걷다보면 어느새 로타리 대피소에 도착하게 된다

그렇게 먼 길도 아니고

쉬엄쉬엄 가다보면 다가오는 지리산에서 가장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대피소가

바로 로타리 대피소일 것이다 

이 대피소에서 천왕봉까지는 약 2KM.

법계사 일주문 앞에서 우두커니 서 있었다

 

 

왼쪽길로 접어들면 천왕봉으로 향한다

언젠가 반드시 찾아올 것이라 생각하며

법계사로 들어간다

쇠말뚝.

일제가 지리산에 박았다는 쇠말뚝이다

 

범종각이 새로 구축된 것 같다

그동안 많이 변했다는 생각이 든다

건물이 많이 생기고

전체적인 모습도 많이 변했다

사진에 찍힌 날짜는 세월을 헷갈리게 하지만

분명 2015년 12월 20일 법종각은 내 눈 앞에 있고

 

한 번씩 종을 쳐보라는 안내 문구를 보고

종을 쳐 보았다

아주 맑은 종소리가 울려 퍼지고

그 종소리와 때를 맞춰

저쪽에서 목탁소리가 들려왔다

마침 그 시각에 스님이 먼 산을 보며 목탁을 치기 시작했다

목탁소리와 종소리가 어울려 먼 산을 흘러가고

그 소리는 어느 한 많은 사람의 가슴을 녹여 줄 법도 했다

사람의 목으로는 낼 수 없는 소리가

산을 쓰다듬으며 퍼져 나가고

산은 그 소리를 있는 그대로 받아내고

소리는 차츰차츰 약해지며 소멸한다

산신각

지리산 산의 기운이 다른 산의 기운보다 예사롭지 않은 것이어서

산신각의 규모도 절의 규모에 비해 큰 편이다

불교를 받아들이기 위한 일환으로 산신을 달래고자 했던 그 옛날  사람들의 생각들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타협이라고 하나

모두 살아남기 위한 타협

긍정적인 삶의 방편으로서의 타협은 너무나도 좋지 않은가

아직도 타협의 길이 먼 싸움의 길은 언제나 끝이 날런지

매일 싸우면서도 지치지도 않는 그들은 도대체 누구를 위해서 살아가는지 아무도 모르는데

그들의 입에서는 항상 "국민"이라는 두 글자를 뱉어낸다

얼마나 많이 먹었길래 뱉어도 뱉어도 남아 있을 두 글자

"국민"

 

 

 

눈 속에 푹 빠진 전투화 ㅎㅎ

전투화라는 표현은 좋지 않다

산과는 절대 전투해서는 안 된다

산에 들어가면 스스로 산이 되어서 산과 함께 길을 걸어야 한다

스스로 산이 되면 피곤한 줄 모르고 걸을 수 있다

한걸음 한걸음이 모여서

천왕봉에 닿게하고

다시 집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한다 

말만 들어도 눈물나는 글자 그것은 또 "집"이다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집"이라는 글자

그 한 글자 속에는 평생 이야기해도 모자랄 이야기가 들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집으로 돌아온다

 

 

법계사를 둘러보고 나오는 길이다

일단 일주문이라고 볼 수 없다는 생각이지만

그래도 일주문이라고 해야겠다

기둥이 양쪽에 하나씩 있기 때문에 일주문이라고 한다는데

이곳은 기둥이 세 개씩이다

큰 기둥을 보조하는 작은 기둥이 양쪽에 하나씩 딸려있다

이곳의 기상을 고려한다면 이해가 간다

얼마나 바람이 많이 불 것이고

얼마나 많은 폭우가 내릴 것인가

차라리 눈 덮인 법계사는 안락해 보였다   

앞산 뒤로 천왕봉이 보인다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천왕봉이다

저 속에 들어가고 싶지만

계획하지 않았기 때문에 갈 수 없다

다음을 기약한다 

휘몰라치는 천왕봉 눈보라를 배경으로 한판 찍어보지만

눈보라는 사진 속에서 휘몰아치지 않는다

눈보라는 오로지 천왕봉에 도착한 사람들에게만 휘몰아치는 모양이다

먼 산들도 눈이 쌓였다

 

칼바위에 도착하니

눈은 대부분 눈에서 사라졌다

산보를 한 기분이다

순두류 생태탐방로로 들어가

통천길로 내려온다 

흐르는 물소리가

싱그럽다

차가운 물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흐르는 물소리에도 온도가 있어서

겨울에 흘러내리는 계곡물은 얼음보다 차가울 것 같고

여름에 흘러내리는 계곡물은

새로운 세상을 보여줄 듯 눈이 번쩍 띄게 할 신비의 물처럼 느껴지게 한다

흐르는 땀을 식히기 위해 계곡물에 머리를 거꾸로 박아보면

대부분 10초에서 30초를 넘기지 못한다

여름은 여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계곡은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다가가는 사람들이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다가갈 때

계곡물은 그 다양한 생각들을 그대로 녹여서

그들이 원하는 물의 모습으로 다가간다

산도 다가가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다

누구든지 산에 대하여 "이렇다"고 이야기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없다

산은 아무 말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2015년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계사 다녀오기(2015-12-25)  (0) 2015.12.26
모산재(2015-12-06)  (0) 2015.12.06
청도 운문사, 와인터널(2015-11-29)  (0) 2015.11.30
자굴산(2015-11-28)  (0) 2015.11.28
모산재 탐방(2015-11-21)  (0) 2015.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