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영배(戒盈杯) - 잔이 차는 것을 경계하라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잔속에 관을 만들어 그 관의 높이까지 술을 채우면 새지 않으나 관의 높이보다 높게 채우면 관 속과 술의 압력이 같아져서 수압 차에 의해 술이 흘러나오는 잔이다.
계영배는 곧 과음을 경계하려고 만든 잔으로 절주배(節酒杯)라고도 한다.
또 인간의 끝없는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도 들어 있다.
계영배는 잔의 70% 이상 채우면 모두 밑으로 새버린다.
이 술잔은 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려고 하늘에 정성을 들이며 비밀리에 만들어졌던 의기(儀器)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실학자 하백원과 도공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그 후 이 술잔은 조선 시대의 거상 임상옥의 손에 들어가는데, 그는 계영배를 늘 옆에 두고 끝없이 솟구치는 과욕을 다스리면서 큰 재산을 모았다고 한다.
"공이 이루어지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도다"라는 말이 노자의 《도덕경》에 있는데, 적당할 때 멈출 줄 아는 계영배는 단순한 술잔이라기보다 과욕을 부리려는 사람들에게 경종을 울려주는 삶의 좋은 지침이 아닐까?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의 시원 (0) | 2016.06.03 |
---|---|
우연히 발견한 옛날 사진 (0) | 2016.05.27 |
오해 (0) | 2016.04.04 |
두 발, 두 팔, 두 눈, 두 귀 (0) | 2016.01.14 |
2015년 봄 (0) | 2015.04.06 |